guestbook
-
-
-
안녕하세요~ 첨뵙겠습니다~~ ^^
2009.07.03 13:44 신고 [ EDIT/ DEL ]
우선 내용은 잘읽어 보았습니다. 오히려 FMS라서 클라이언트 저장이 더욱 힘드시겠군요...
영상에 점프하는 스킵이 따로 있다면 저장이 더욱 힘드실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저도 그러한 부분으로는 경험이 없지만 추측한다면
다음과 같이 연구할 것 같습니다.
FMS환경에서 stream을 통해 파일 전체에 대한 bytes정보 추출이 가능한지 테스트해보고..만약 가능하다면 일단 메모리상에
저장하여 이를 MFC에 전달하고 파일을 떨구어 볼것같습니다...
아마 여기까진 생각하셨을것 같네요
문제는 bytes정보의 추출인데 저도 별도로 FMS환경에서 bytes추출을 테스트한 경험은 없습니다...FMS는 오히려 보안을 생각하여 클라이언트에 자료를 남지않게 하기위해서죠...
이도저도 아니면 무식한 방법일지 모르지만 서버에서 해당 파일의 byte만 추출하여
response하도록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가공하거나
편집하여 저장하면 어떨까 생각해 봤습니다..
-
-
-
juho
-
-
헛 직렬화때문에 고생하시는군요~ 저도 Flex에서 사용해 봤는데 Bindable과 RemoteClass를 걸어
2009.04.21 19:37 신고 [ EDIT/ DEL ]
사용하다가 mx.collections.ArrayCollection이 무거워서 플래시 프로젝트로 변환하면서
그냥 Array로 받았습니다.
서버쪽(당시자바)에서는 ArrayCollection 사용시 List라는 것으로 리턴하였고 플래시
프로젝트로 변경하고서는 그냥 Array로 리턴해 주셨습니다.
내용은 직렬화를 위해 변수=값,변수=값..과 같은 형태였으며 Messageformat을 맞추기 위해
LCDS를 사용했으며 주요 작업은 서버쪽에서 많이 했던거로 기억됩니다..
저희는 그냥 던져주시면 바로 받아서 Parse없이 사용했었어요~..
아 그리고 플렉스에서는 DTO를 사용해서 클래스를 맞추었는데 플래시 프로젝트에서는 그냥 배열을 받아서 사용했던거 같습니다~
내용추가합니다~
혹시나 검색에 낚이신분들 보세요~ㅎㅎㅎ
지돌님의 블로그를 보고 다시 기억났네요~
DTO대신에 registerClassAlias를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자세한 내용은 지돌님 블로그에 대왕 정리되어 있습니다~
-